[페어뉴스]= 30일 오후 3시에 2023 대구 국제 도시설계 컨퍼런스가 삼성창조캠퍼스 내 중앙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대구시는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도시계획 이슈 지역에 대한 국내·외 석학들의 아이디어를 통해 대구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대구를 세계로 알리는 기회로 삼았다. 이번 컨퍼런스는 200여 명이 참석했고, 3월 30일(목) 오후 3시부터 시작됐으며 행사는 1부와 2부로 나뉘어 진행됐다. 1부 행사는 강연과 질의응답을 통해 도시주택국장 등 대구시 관계자 및 전문가들과 의견을 공유했으며, 2부에서는 ‘2023 대구 국제 도시설계 스튜디오’ 참가 대학인 6개 국가, 7개 대학 교수·학생의 대상지와 주제 관련 발표·토론이 있었다.
[페어뉴스]= 금속산업의 글로벌 빅 이벤트 “GMTN 전시회”가 4년만에 돌아온다. GMTN은 세계 유일 매머드급 금속산업전시회로 올해 6월 12일 - 16일에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개최된다. GMTN은 GIFA(주조 전시회 및 기술 포럼), METEC(야금 전시회 및 국제회의), THERMPROCESS(열처리 기술 전시회 및 심포지엄), NEWCAST(캐스팅 전시회 및 뉴캐스트 포럼) 네 전시회를 통칭하는 말이다. GMTN은 원재료부터 기계, 가공기술, 최종 소비재까지 산업 전 영역을 다룬다. 따라서 자동차, 건설, 플랜트, 항공기, 전자제품, 철도, 조선 등 관련 업계 전문가를 위한 최고의 플랫폼으로 60년간 자리매김해 왔다. 지난 2019년도 전시회에는 127개국에서 약 72,500명이 방문하고, 2,368개사가 참석했다. 금속산업 혁신 플랫폼 금속업계 발전주기에 맞춰 개최되는 전시회 특성 상 최신 솔루션과 혁신적 신기술이 대거 출격한다. 올해 전시회는 신재생기술, 친환경 소재 및 공정, 에너지 효율 증대와 같은 대주제가 글로벌 파운드리, 야금, 공정 등에 미치는 변화를 집중 조명한다. 또한 글로벌 빅 플레이어들의 참가가 확정돼 한껏 기대를 모은다. 따라
[페어뉴스]= 코로나 팬데믹으로 중단됐던 국제 아시아태〮평양 소싱 전시회(Asia-Pacific Sourcing)가 4년 만에 재개됐다. “국제 아시아태〮평양 소싱 전시회(Asia-Pacific Sourcing) 2023”은 독일 쾰른에서 지난 3월 2일 사흘간의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2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아시아태〮평양 소싱 전시회는 유럽 및 미주 시장을 중심으로 아시아태〮평양 제품에 대한 아웃소싱 기회를 제공한다. 제품군 확장으로 향후 성장 기대건축 및 DIY 자재부터 정원, 캠핑, 레저용품까지 포괄하는 광범위한 제품군에, 올해는 자동차 부품과 위생도기까지 더해져 더욱 확장된 제품 스펙트럼을 선보였다. 17,100sqm 전시장을 가득 채운 500개 참가사는 국제 아시아태〮평양 소싱 전시회가 불변의 성장 가도를 달리고 있음을 입증했다. 유럽 및 미주 방문객의 뜨거운 관심 여전유럽 및 미주 80개국에서 4,500명의 방문객이 전시회장을 찾았다. 80개국이라는 기대 이상의 높은 국제성은 코로나 팬데믹 이전에 버금가는 성과다. 아시아 하드웨어 산업이 높은 잠재력과 성장세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특히 한국에서는 공구 및 산업자재
[페어뉴스]= 지난 23년간 국내 창업시장의 활성화와 프랜차이즈 교류의 장이 된 부산창업박람회가 오는 부터 29일까지 3일간 부산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된다. 동남권 최대 규모로 진행되는 이번 박람회는 예비 창업자들에게는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최신 트렌드와 창업 정보를 제공하고, 프랜차이즈 본사들에게는 지역 프랜차이즈 사업 확장과 홍보를 통한 가맹사업자 모집의 기회를 제공한다. 코로나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언이 올해 해제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20일을 기점으로 대중교통에서의 마스크 착용이 권고로 전환되는 등 코로나 이전의 일상으로 빠른 회복이 이루어지고 있어 창업시장에서의 기대감도 높아질 전망이다. 중소 벤처기업부에서 발표한 2022년 ‘창업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의 3고(高) 여파로 부동산업 창업은 감소하였으나 비대면 소비문화 확산과 전자상거래 증가 영향으로 도·소매업(7.3%↑) ▲농·임·어업 및 광업(12.9%↑) ▲교육서비스업(4.3%↑) ▲예술·스포츠·여가업(6.6%↑) 등은 전년 대비 창업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창업박람회는 기존의 외식업, 카페, 교육 서비스업, 유통, 미용,
[페어뉴스]= 세계 최대 가구·인테리어 기자재 전시회 “interzum (인터줌) 2023”이 4년만에 쾰른 전시장에서 열린다 . 인터줌은 2021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온라인 전시회로 대체되었고, 2023년 다시 대면 전시회로 5월 9일부터 4일간 독일 쾰른에서 개최된다. 인터줌 2023의 참가 규모는 동 전시회의 2017 수준에 근접한다. 60개국 1,400개사가 참가하며, 전세계 리딩 기업에서부터 스타트업까지 한자리에 모인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였던 2019년의 80%에 달하는 수준이다. 가구/인테리어 하드웨어 및 부품의 헤티히 (Hettich), 헤펠레 (Häfele), 블룸 (Blum), 바우스 사겔 (Vauth-Sagel) 에서부터 바닥재의 샤트데코 (Schattdecor), 임프레스 (Impress), Egger, 핀사 (Finsa)와 텍스타일 자재와 기계 분야의 Leggett & Platt, Global Systems Group, Atlanta Attachment, Dürkopp Adler까지, 각기 다양한 인테리어 기자재 분야의 신제품과 기술 혁신을 선보일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15개사가 참가한다. 현대 L&C, LX 하우시스,
[페어뉴스]= 주한영국대사관 산업통상부가 해상풍력을 주제로 ‘제4회 영국 해상풍력 기업 소개 웨비나 2023’ 세미나를 4월 6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인류 생존을 위한 기후 위기 극복이 세계적 과제로 떠오르면서, 미래 청정에너지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움직임이 가속하고 있다. 세계 각국이 탄소 중립 정책과 재생 에너지 전환에 노력을 기울이며 해상풍력이 자연스레 주목받고 있다. 이런 세계 흐름에 맞춰 개최되는 영국 해상풍력 웨비나는 앞선 기술로 영국에서도 많은 주목을 받는 해상풍력 기업의 리더들이 함께한다. 온라인 사전 등록자를 대상으로 실시간 생중계되는 이번 웨비나는 해상풍력 강국 영국과 비즈니스 협력을 모색하는 장으로 준비됐다. 오정배 블루윈드엔지니어링 대표의 오프닝으로 시작해 주한영국대사관의 영국 산업통상부(Department for Business & Trade) 참사관 토니 클렘슨(Tony Clemson)의 개회사가 진행된다. 이어 에너지 업계에서 해상풍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브씨7(Subsea7)의 프로젝트 총괄인 아르노 루(Arnaud Roux)가 ‘한국의 실정에 맞는 부유식 해상풍력 건설’이라는 주제로 첫 번째 세션을 진행한다. 이어 △술
[페어뉴스]= 보성군과 보성세계차엑스포조직위원회는 경희궁에서 '2023 제11회 보성세계차엑스포 D-30 사전홍보를 위한 '붐업 페스타'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붐업 페스타는 오는 30일 서울 경희궁에서 펼쳐지며 왕에게 보성 차를 진상하는 행렬과 고려시대 왕의 진상품이었던 뇌원차 진상식을 재현한 퍼포먼스가 준비돼 있다. 보성군은 4월 29일부터 열리는 '2023 제11회 보성세계차엑스포'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참여를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철우 보성군수와 前 한국도로공사 사장 손학래 공동위원장을 비롯한 재경향우회, 사회단체, 차 단체 등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보성차 진상 행렬을 시작으로 고려시대 왕의 진상품이었던 보성 뇌원차 진상, 홍보대사 위촉식, 차 나눔 행사 등 다양한 즐길 거리가 마련됐다. 홍보대사로 아이돌 그룹 머스트비(남성 5인조)와 시그니처(여성 7인조), 서울 노원구 손영준 구의원, 서울 성북구 소형준 구의원을 보성군 홍보대사로 위촉해 수도권 주민의 관심을 유도하고 엑스포 홍보 분위기를 집중시킬 예정이다. 공동위원장인 김철우 보성군수는 "엑스포 개막 30일 행사로 조선의 5대 궁궐 경희궁에서 왕의 차를 진
[페어뉴스]= 한국 전통·불교문화산업의 발전을 견인하는 서울국제불교박람회가 3월 30일부터 4월 2일까지 나흘간 서울 무역전시컨벤션센터(SETEC)에서 ‘걸어온 10년, 함께 걸어갈 100년’을 주제로 개최된다. 조계종이 주최하고 불교신문·불광미디어가 주관하는 이번 서울국제불교박람회에서는 불교박람회 개최 10주년과 한국-인도 수교 50주년을 기념하는 대대적인 행사가 진행된다.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올해 한국-인도 수교 50주년을 맞아 첫 번째 주빈국(主賓國)으로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를 선정하고, 인도불교계 주요 인사를 초청했다. 불교박람회에는 아밋 쿠마르 주한 인도대사(H.E. Amit Kumar), 담마삐야(Ven. Dhammapiya) 세계불교도연맹 대표, 히로 히토(Heero Hito) 인도 수바르티대학 이사장, 카울레시 쿠마르(Dr. Kaulesh Kumar) 인도불교관광사업협회 사무총장, 라젠드라 아가르왈(Rajendra Agarwal) 국회의원 등이 참석해 불교박람회 개최 10주년을 축하하고, 한국·인도 불교계 간 교류와 연대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서울국제불교박람회에서는 주빈국인 인도의 불교문화를 다각적으로 선보이는 다양한 기획프로그램이 마련됐다.
[페어뉴스]= 국내 최대 미래 선도기술 전시회인 ‘제12회 스마트테크 코리아(SMART TECH KOREA 2023, 이하 스마트테크 코리아)’가 6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코엑스 1층 A·B홀 전관을 사용하며, 350개사 1000개 부스 규모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산업통상자원부, 매일경제신문사, MBN,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지능정보산업협회, 스마트제조혁신협회,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로봇신문, AI타임스, 엑스포럼이 주최·주관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이 후원한다. ‘미래를 연결하다(Connect the Future)’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새로운 테크 산업과 트렌드를 이끄는 B2B 비즈니스 플랫폼 전시로, 디지털 시대의 최첨단 테크놀로지와 미래 유망 산업을 집중 조명한다. 최근 챗GPT가 전 세계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 혁신을 이끌 인공지능 기술을 중심으로 상품, 서비스의 제조·생산에서부터 유통과 배송, 소비의 과정에 적용되는 리테일, 로봇, 보안 등 최첨단 기술과 솔루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할 계획이다. 전시회는 기존 △스마트테크쇼 △인공지능&빅데이터쇼 △리테일테크쇼
[페어뉴스]=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이창기)은 서울시민의 문화향유 확대를 위한 문화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제3회 서울문화예술포럼을 오는 31일(금) 오후 3시 충정로 청년예술청에서 개최한다. 서울문화예술포럼은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미래가치 담론을 형성하고, 서울의 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작년 9월 출범했다. 지난 두 번의 포럼에서는 ‘포스트코로나 문화예술 전망과 서울의 문화전략’, ‘기후위기와 문화예술’을 주제로 서울의 문화예술정책에 필요한 주요 의제를 발굴하고 공론화했다. 3회 차를 맞는 이번 포럼에서는 서울시민 문화향유 실태와 정책방향을 주제로 최근 시민의 문화향유 활동 경향을 살펴보고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따른 문화향유 확대 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포럼을 여는 발제로 <2022 서울시민 문화향유 실태조사>의 주요 결과가 처음 공개된다. 서울시민의 문화,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 정도, 문화예술 활동 참여 경험 등을 수치화된 결과로 확인 가능하다. 이어지는 발제에서는 조사 결과의 시사점을 반영해 시민의 예술 향유와 문화 소비 행태 변화를 고려한 서울 문화예술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특히 서우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의 발제 ‘서울시민 문화